서브비주얼

국내,외 발표자

프로그램 Day 1 (2.22)

종일 : 미국 NIAID

Part 1. Emerging virus

좌장

  • 김 우 주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감염내과

    학력사항

    • 1992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 박사
    • 1986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 석사
    • 1983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1996 - 1997 미국 시카고 Rush-Presbyterian St. Luke’s Medical Center 감염내과 연수

    경력사항

    • 2022 ~ 현재 대한내과학회 회장
    • 2021 ~ 현재 대한백신학회 회장
    • 2021 ~ 현재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정회원
    • 2019 ~ 현재 질병관리청 감염병연구기획전문위원회 위원
    • 2015 ~ 2017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회장
    • 2010 ~ 2016 신종인플루엔자 범부처 사업단장
    • 2015 메르스대응 민관합동공동위원장, 즉각대응팀장, 국무총리 특별보좌관
    • 2013 ~ 2015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 2009 ~ 2011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부회장
    • 1999 ~ 2001 국립보건원 호흡기바이러스과 과장

연자

  • 사전질의
    Daniel César Douek

    Senior Investigator and Chief(Human Immunology Section, Vaccine Research Center, NIAID, NIH) / Genome Analysis Core(Chief) / PREMISE pandemic preparedness program(Director) / Sheba Pandemic Preparedness Research Institute(Senior Scientific Advisor)

    Topic

    • Building a novel pandemic preparedness program

    Abstract

    • I will discuss principles underlying an immunologic approach to pandemic preparedness, progress made in designing serologic assays and widening our international partnerships, an EV-D68 pilot study, and specific projects to identify neutralizing antibodies against viruses including SFTSV and Langya virus.
  • 사전질의
    이 한 샘

    보건연구사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신종바이러스매개체연구과

    발표주제

    • 메르스바이러스, SFTSV 치료항체 개발

    강연요약

    • 중화항체는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 기전으로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최근 신변종바이러스 출현에 따라 인간 중화항체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2015년 우리나라에 메르스바이러스가 유입이 된 사례가 있고, 전세계적으로 35% 정도의 높은 치사율에도 불구, 현재까지 백신과 치료제가 없습니다. 이에 메르스 감염 완치자의 PBMC로부터 메르스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인 B세포를 분리 및 항체를 발굴하였습니다. 24종의 스파이크 단백질 특이 항체 중 6종의 항체가 메르스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중화함을 확인하였고, 결합력을 정밀 측정하였으며, X-ray 회절결정 구조분석을 통해 KNIH90-F1과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와의 결합 구조를 확인하였습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SFTS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며, 아시아권, 특히 중국, 한국, 일본에서 약 30%의 높은 치사율을 보입니다. SFTSV 치료항체를 개발하기 위해 SFTS 바이러스의 Gn, Gc 당단백질을 표적한 항체 개발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Part 2. Phage therapy for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좌장

  • 오 명 돈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력사항

    • 1994 서울대학교 의학 박사
    • 1986 서울대학교 의학 석사
    • 198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경력사항

    • 1997 ~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내과학)
    • 1992 ~ 현재 서울대학교 병원 감염내과 교수
    • 2020 ~ 현재 국가감염병임상위원회 위원장
    • 2009 ~ 2011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 2020 ~ 2022 대한민국 글로벌보건안보 대사
    • 2022. 1 ~ 4 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코로나특위 위원

연자

  • 사전질의
    명 희 준

    교수 / 대표이사

    한국외국어대학교 / ㈜라이센텍

    발표주제

    • 다제내성균 치료용 박테리오파지 및 엔도라이신

    강연요약

    • 항생제 내성균의 급격한 증가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2019년에 항생제 내성과 관련된 사망자 수는 전 세계 495만 명으로 보고되었다. 코로나 사태로 환자들에게 항생제 처방이 표준요법이 되면서 항생제의 오남용은 더욱 심각해졌다. 하지만 신규 항생제 개발을 위한 파이프라인은 고갈되고 있다.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감염하는 바이러스이다. 엔도라이신은 박테리오파지가 만드는 세포벽 분해효소로, 증식한 파지가 세균 내에서부터 방출될 때 사용된다. 엔도라이신을 재조합 단백질의 형태로 외부로부터 공급하면 세균을 죽일수 있다. 따라서 박테리오파지와 엔도라이신은 다제내성균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점점 더 각광받고 있다. 파지요법의 성공적인 임상적 결과가 동구권 뿐 아니라 서방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엔도라이신을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으로 개발하는 과정도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파지요법과 엔도라이신 요법의 동물모델 및 임상적 적용 케이스들을 발표한다.
  • 사전질의
    Dennis M. Dixon

    Chief, Bacteriology and Mycology

    NIH/NIAID

    Topic

    • NIH/NIAID, Antibacterial Resistance and Our Bacteriophage Trial in Cystic Fibrosis Paients.

    Abstract

    • The NIH is the largest public funder of biomedical research in the world, and the NIAID is the lead institute on antibacterial resistance (AR). Clearly AR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The GRAM report, Lancet (2022) 399:629-655, documented that a sort list of of resistant bacterial pathogens were carefully estimated to cause more deaths globally than AIDS and malaria combined. This presentation will summarize an overview of NIAID efforts to address the global threa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cluding research on alternative treatments with a focus on the NIAID Antibacterial Resistance Leadership Group (ARLG) trial on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to study safety and activity of a bacteriophage approach to addressing Pseudomonas infection in cystic fibrosis (CF) patients. It is hoped that this rigorous, prospective trial will provide valuable, foundational information on safety and activity of intravenously administered bacteriophage on Pseudomonas colony counts on stable CF patients colonized with Pseudomonas and titres of bacteriophage after administration. I addition, a summary will be given of the recent guidance type document from the ARLG and the NIAID on summary of bacteriophage therapy and possible adjunctive therapeutic indications.

Part 3. Research of Vaccine adjuvants

좌장

  • 성백린

    특임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력사항

    • 1988 MIT 생물학 박사
    • 1979 KAIST 생물공학 석사
    • 1977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학사

    경력사항

    • 2022 ~ 현재외교부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회 바이오분과위원장
    • 2020 ~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특임교수
    • 2020 ~ 현재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 2020 ~ 2022 범정부 코로나19 백신전문위원회 위원장
    • 2020 ~ 202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 2001 ~ 2009프로테온 대표이사
    • 1998 ~ 2020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교수
    • 1993 ~ 1998 한효과학기술원 생물과학연구소 소장
    • 1992 ~ 1993 미국 Aviron사 Scientist
    • 1988 ~ 1992영국 Oxford 대학 박사후 연구원

연자

  • 사전질의
    조 경 아

    교수 / 대표이사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 (주)메디스팬

    발표주제

    • 노인용 백신보조제로서의 플라젤린 소개

    강연요약

    • 노화에 따른 면역기능저하는 다양한 감염질환에 대한 민감성 뿐만 아니라 백신의 효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면역노화 유도 기반의 백신보조제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본 연구팀 뿐 아니라 해외의 많은 연구그룹에서 플라젤린에 의한 TLR5의 활성이 면역노화를 개선하고 백신의 효능을 증강시킬 수 있음이 증명되었습니다. Vaccinate라는 회사에서 인플루엔자 백신에 살모넬라균의 플라젤린을 보조제로 개발하고자 하였으나 플라젤린의 면역원성 부위(D2, D3)에 의한 강한 항체 생성 및 염증 반응으로 개발이 중단된 후 플라젤린의 개량체 개발이 진행되어 왔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팀은 면역원성 부위가 최소화된 개량체(MSP-102)를 개발하였으며 노인용 백신 보조제 (Aging Cell, 2015)뿐 아니라 다양한 노인성 질환 치료제(process in Nat Comn, 2023)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TLR5의 노화에서의 다양한 역할과 임상 적용 가능한 약물로서 개량된 MSP-102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 사전질의
    Kentner L. Singleton

    Program Officer, Basic Immunology Branch; Division of Allergy Immunology and Transplan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NIAID)

    Topic

    • NIAID Vaccine Adjuvant Program

    Abstract

    • The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NIAI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supports a comprehensive Vaccine Adjuvant Program to advance the discovery,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new vaccine adjuvants. These adjuvants may be used to improve the efficacy of current vaccines, design new or improved vaccines for existing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 develop vaccines to treat allergies, autoimmune diseases, substance use disorders, and cancer. The NIAID Adjuvant Program has supported the screening of over 2 million compounds and the development >40 adjuvants, which have been evaluated in more than 25 clinical trials. Vaccine adjuvants available for use by investigators may be found at the Vaccine Adjuvant Compendium (https://vac.niaid.nih.gov/). The compendium compiles metadata on novel adjuvant research and characteristic studies to help vaccine developers identify suitable adjuvants.
  • 사전질의
    Alicen Burns Spaulding

    Senior Advisor and Team Lead PREMISE, Vaccine Research Center (VRC),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NIAID)

    Topic

    • The future of pandemic preparedness: Building collaborations and EV-D68 as a test case for NIAID/VRC's PREMISE program

    Abstract

    • DDr. Spaulding will present on the experience of building PREMISE, a brand-new pandemic preparedness program at NIAID/VRC. This will include a discussion of how US and international partnerships are being built, what mechanisms for collaborations are being used, and examples of successful collaborations to date. She will then present on a study using EV-D68 as a test case for PREMISE, including an overview of the study design and current status. She will conclude by discussing how partners can engage with PREMISE and what some of the next strategic steps are for the program.